728x90

IP(Internet Protocol)란?

 

 - IP Address를 기반으로 하여 Network와 Host를 인식하여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프로토콜

 - 비 연결형 프로토콜(Connectionless), 비 신뢰적 프로토콜

 - IPv4(IP 주소 길이 32bit), IPv6(IP 주소 길이 128bit) 있음

 

 

 

IP Header

 

 Version  - IP 버전(IPv4 : 4, IPv6 : 6)
 - 필드 길이: 4bit

 IHL(IP Header Length)  IP 헤더의 길이
 Type Of Service  - QoS(Quality of Service)를 위한 필드
 - 필드 길이: 8bit

 Total Length  - IP 패킷의 총 길이(Bytes 단위)
 - 필드 길이: 16bit

 Identification   IP 패킷의 식별자
 IP Flags
 x  Unused
 DF(Don't Fragmentation)  - IP 패킷의 단편화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
 - 0: 단편화 가능
 - 1: 단편화 불가
 MF(More Fragmentation)  - IP 패킷의 단편 조각이 더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필드
 - 0: 더 이상 단편 조각이 없음
 - 1: 단편 조각이 더 있음
 Fragment Offset  IP 패킷 단편 조각이 원본 데이터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오프셋(위치)를 나타내는 필드
 TTL(Time to Live)   - IP 패킷의 수명을 나타내는 필드로 0~255 범위로 지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거칠 때마다 1씩 감소하며 0이 되면 IP 패킷이 폐기됨
 - 필드 길이: 8bit
 Protocol  - 상위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필드
 - 필드 길이: 8bit
 Header Checksum  IP 헤더의 오류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필드
 Source Address  출발지 IP 주소
 Destination Address  목적지 IP 주소
 Options  옵션 헤더(가변 길이)
 Padding  옵션 패딩(가변 길이)

 

IP Address

1) IP Address 관련 용어

 IP Address (IP 주소)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하는 Host에 할당된 고유한 논리주소
 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에서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기 위한 마스크 값
 Gateway Address (게이트웨이 주소)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관문 (Router의 IP 주소) 
 Network Address (네트워크 주소)  IP 네트워크의 주소로 Host ID bit가 모두 0인 주소
 Broadcast Address (브로드캐스트 주소)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IP 주소로 Host ID bit가 모두 1인 주소

 

2) IP Address 관리 방식

- Classful: IP의 Class 단위로 IP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식

- Classless: IP의 Class와 관계 없이 IP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방식

 

클래스 네트워크 주소 네트워크 수 서브넷 마스크 호스트 수
A 1.0.0.0 ~ 126.255.255.255 126 255.0.0.0 2^24 - 2
B 128.0.0.0 ~ 191.255.255.255 2^14  255.255.0.0
2^16 - 2
C 192.0.0.0 ~ 223.255.255.255 2^21 255.255.255.0 2^8 - 2
D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이 되며 일반 호스트에 할당하지 않음
E 연구용으로 사용되며 일반 호스트에 할당하지 않음

* 호스트 수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3)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 인터넷(공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 사설 IP 주소 : 사설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IP 주소

 

클래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
A 10.0.0.0 255.0.0.0
B 172.16.0.0 ~ 172.31.0.0 255.255.0.0
C 192.168.0.0 ~ 192.168.255.0 255.255.255.0

 

4)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 및 공인 IP 주소를 사설 IP 주소로 변환

 

728x90
728x90

Gratuitous *ARP란?

 - ARP Cache Table 갱신

 - 네트워크 상에서 중복되는 IP 주소를 감지

 *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 IP 주소를 MAC 주소와 매칭 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Gratuitous ARP 목적

  • IP 주소 중복 방지
  • ARP 캐쉬 갱신

 

* ARP는 알아내려는 IP 주소를 타겟으로 하여 ARP Request를 보냄

* GARP는 자신의 IP 주소를 타겟으로 하여 ARP Request를 보냄

 

ARP란?

- 단말간 통신에서는 IP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함

- 실제 데이터 이동을 위해 MAC 주소를 함께 이용함

  => 이 때 필요한 것이 ARP

 

ARP 사용 이유

-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매칭하여 LAN에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도움

-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대응하여 테이블로 정리하고 목적지 IP에 맞는 목적지 MAC 주소로 전달

 

*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칭하는 이유

- IP 주소는 끊임없이 변화함 = 사람 이름과 같음

- MAC 주소는 고유함 =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음

 

ARP TABLE

- IP 주소와 MAC 주소를 일대일 매칭시킨 정보를 정리해둔 TABLE

 

ARP 동작 절차

 

 

1) CentOS7_net-1(192.168.56.11)CentOS7_net-2(192.168.56.12)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려고 함

2) Routing table에서 상대의 IP가 같은 LAN에 속하는 것을 확인함

3) 상대의 IP가 ARP Cache Table(=ARP Table)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사

4-1) 이미 ARP Table에 등록되어 있다면 MAC Address를 이용하여 Ethernet Frame의 destination MAC Address를 채우고, Frame을 전송함

4-2) ARP Table에 없다면, CentOS7_net-2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 ARP Request(Who has 192.168.56.12? Tell 192.168.56.11) 메시지를 전송함

ARP Request 메시지 전송

5) CentOS7_net-1Broadcast(ff:ff:ff:ff:ff:ff)ARP Request를 보내고 CentOS7_net-2에 전달됨

ARP Request packet format

6) ARP Request의 목표인 CentOS7_net-2가 응답하여 ARP Reply(CentOS7_net-2의 MAC 주소)를 보냄

ARP Reply packet format

7) CentOS7_net-1은 CentOS7_net-2가 보낸 ARP Reply를 받고 ARP Table에 CentOS7_net-2의 IP와 MAC 주소를 저장

 

 

**단말간 통신 중단 이후에 발생하는 ARP 패킷의 의미는?...

 

ARP 실습: [CentOS7_net-1]에서 [CentOS7_net-2]로 통신

 

게이트웨이에 대한 정보 확인: arp -a

 

 

[CentOS7_net-1] Wireshark 도구 실행

 

Applications > Internet > Wireshark 클릭하여 실행
Interface List > 캡처할 네트워크 카드 선택 > Start

 

[CentOS7_net-1] 통신 요청: 터미널 창에서 ping 192.168.56.12 

 

ping 192.168.56.12 > 통신 중지: Ctrl + C

 

CentOS7_net-2로 통신 요청 후 중지

 

Wireshark 캡처 중지

 

ARP Request 패킷

 

ARP Reply 패킷

 

 

ARP 패킷 삭제: arp -d ip 주소

- 이미 통신을 해본 상태라면 ARP 테이블에 업데이트가 되어, 브로드캐스트를 할 필요가 없어져 해당 패킷을 잡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

 

CentOS7_net-1에서 arp -d 192.168.56.12 실행

CentOS7_net-2에서 arp -d 192.168.56.11 실행

 

 

출처

https://aws-hyoh.tistory.com/entry/ARP-%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ARP 쉽게 이해하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bind)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

aws-hyoh.tistory.com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148 

 

GARP

ACD, Address Conflict Detection

www.ktword.co.kr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goduck2&logNo=220162690234 

 

[오리뎅이의 LAN 통신 이야기 - 6] Gratuitous ARP가 얼마나 요긴한데, 이름이 꽁짜 ARP?

안녕하세요? 오리뎅이입니다. [오리뎅이의 랜통신 이야기 - 2] 편에서 "ARP는 이더넷의 꽃이다" 라는 제...

blog.naver.com

 

728x90
728x90

1. VirtualBox 설치

 

아래 링크로 접속 후 환경에 맞는 패키지 다운로드

1) VirtualBox 6.1.34 platform packages

2) VirtualBox 6.1.34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Downloads – Oracle VM VirtualBox

Download VirtualBox Here you will find links to VirtualBox binaries and its source code. VirtualBox binaries By downloading, you agree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license. If you're looking for the latest VirtualBox 6.0 packages, see Virt

www.virtualbox.org

 

 

VirtualBox 6.1.34 platform packages 설치
VirtualBox 6.1.34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설치

 

1) VirtualBox 6.1.34 platform packages 설치

기본 옵션으로 설치

 

2) VirtualBox 6.1.34 Oracle VM VirtualBox Extension Pack 설치

 

아래로 스크롤 후 활성화된 동의합니다 버튼 클릭

 

설치가 완료됨

 

2. VirtualBox 환경 설정

 

확장팩 설치 확인: 파일 > 환경 설정 > 확장

 

VirtualBox 실행 후 파일 탭에서 환경 설정 선택

 

Extension Pack이 추가 되었는지 확인

 

호스트 키 단축키 설정 확인: 파일 > 환경 설정 > 입력

 

호스트 키 조합의 단축키 설정: Shift + Ctrl + Alt

 

네트워크 설정 확인: 파일 > 환경 설정 > 네트워크

 

새 NAT 네트워크 추가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설정: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파일 탭에서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클릭

 

이름 더블 클릭 후 하단의 어댑터 탭에서 수동으로 어댑터 설정 확인

 

DHCP 서버 주소 확인

 

3. VirtualBox에서 가상 머신 실행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파일 >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파일 탭에서 가상 시스템 가져오기 클릭

 

 

가져올 가상 시스템 파일 추가 아이콘 클릭

 

파일 선택

 

다음 클릭

 

가상 머신의 이름 변경 후 가져오기 클릭

 

가져온 가상 머신 선택 후 시작 클릭

 

4. 가상 머신에 로그인

Username Password
root root
user user

 

 

가상 머신 실행 후 로그인

 

 

5. 가상 머신 IP 주소 설정

 

네트워크 카드 확인 및 IPv4 설정

 

우측 상단에서 메뉴 클릭 후 설정 버튼 클릭

 

1) Ethernet(enp0s3=nat):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카드, 외부와 연결

2) Ethernet(enp0s8=host-only): 내부에서 통신하는 네트워크 카드, 가상머신들끼리 통신, 호스트 PC와 통신

 

Network 탭으로 이동 후 두 개의 네트워크 카드 확인

 

Ethernet(enp0s8) 네트워크 카드 설정 변경

 

네트워크 카드 설정 CentOS7_net-1 CentOS7_net-2
IP Address 192.168.56.11 192.168.56.12
SubnetMask 255.255.255.0 255.255.255.0

IPv4 탭에서 Manual 선택 후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입력 후 적용

 

설정 변경 후 네트워크 카드 재시작(On > OFF > On)

 

설정 화면으로 이동

 

변경된 IPv4 주소 확인

 

2. 가상 머신 환경 설정: 크기 조정, 백그라운드 및 폰트

 

자동으로 크기 조정: 보기 > 가상 화면 > 200%로 크기 조정

 

 

 

가상 머신 백그라운드 설정 변경

 

우측 상단에서 메뉴 클릭 후 설정 버튼 클릭

 

Background 탭 > Background 클릭 후 원하는 옵션 선택

 

터미널 폰트 변경: Edit > Preferences

 

터미널을 열고 Edit 탭에서 Preferences 클릭

 

Unnamed > Custom font 체크 > Monospace Regular

728x90
728x90

프로토콜이란?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지켜야할 절차 및 규약

 

Network Interface Layer

 

 1) 물리 주소

 - 네트워크 카드에 고유하게 할당된 하드웨어 주소

 - 물리 주소는 16진수로 표현하며 물리주소의 길이는 6Bytes(48bits)

 

 2) Ethernet

 

 

 Preamble  Ethernet 프레임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필드 7Bytes(10101010)
 SFD(SOF)  Ethernet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필드로 1Bytes(10101011)
 Destination address  목적지 물리 주소(6 Bytes)
 Source address  출발지 물리 주소(6 Bytes)
 Type  상위 프로토콜의 종류(2 Bytes)
 Data  상위 계층에서 캡슐화된 데이터
 FCS  Ethernet 프레임의 전송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필드(4 Bytes)

 

3) ARP

 

 

 Hardware Type  물리적 네트워크의 종류 (Ethernet : 0x1)
 Protocol Type  논리 주소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의 종류 (IPv4 : 0x0800)
 Hardware Address Length  물리주소의 길이
 Protocol Address Length  논리주소의 길이
 OP Code  ARP Protocol 메시지 종류
  * ARP Request : 1,  ARP Reply : 2
 Sender Hardware Address  송신자의 물리 주소 (6Bytes 필드 길이)
 Sender Protocol Address  송신자의 논리 주소 (4Bytes 필드 길이)
 Target Hardware Address  대상의 물리 주소 (6Bytes 필드 길이)
 Target Protocol Address  대상의 논리 주소 (4Bytes 필드 길이)

 

* ARP Protocol 동작

 1. ARP Request

      Broadcast로 해당 MAC address 질의

 2. ARP Reply

      Unicast로 해당 MAC address 응답

728x90
728x90

네트워크 토폴로지란?

 

 - 외형적인 연결 모양을 의미함

 

 -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링크, 노드 등)을 물리적으로 연결한 상태, 연결 방식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

 

[출처: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356]

그물(망)형  - 중앙에 제어 노드 없이 모든 노드가 상호 간에 1:1로 연결되는 형태
 - 네트워크 구성 방식 중 가장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가장 안정적인 토폴로지
 - n(n-1)/2개의 물리적인 링크가 필요함
트리형  - 성형 토폴로지의 변형으로 제어 노드에 모든 노드가 연결되지 않고 트리 형태의 제어 노드를 두어 연결하는 토폴로지
 - 상위 계층의 노드가 하위 계층의 노드를 직접 제어하는 환경에 적합함
링형  - 노드가 순차적으로 링에 연결된 형태로 모든 노드가 하나의 링에 연결됨
 - 각 노드는 인접한 2개의 노드와만 연결함
성형  - 중앙에 제어 노드가 위치하여 나머지 모든 노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 모든 노드가 중앙의 제어 노드에 연결되어 통신하므로 중앙의 제어 노드의 안정성과 성능이 중요함
버스(선)형  - 모든 네트워크 노드와 주변 장치가 파이프 등의 일자형 케이블(버스)로 연결된 형태
 - T자 탭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버스 양 끝단에 터미네이터를 연결함

 

728x90
728x90

ISO OSI Reference Model

1) OSI 7 Layers

 

 - 인터넷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 표준으로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의 7계층으로 구성됨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직접 다룰 수 있는 계층
 - 장비: WAF, IDS, IPS, L7 Switch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
 -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 압축, 암호화 방식 등을 정의함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세션의 수립, 유지, 종료 등 세션 관리를 위한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데이터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계층
 -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대상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달함
 - 장비: 방화벽(Firewall), L4 Switch, 로드밸런서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명세를 정의하는 계층
   (*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단위)
 - 논리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함
 - 장비: Router, L3 Switch
 Data-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을 인접 노드에 전달하기 위한 명세를 전의하는 계층
   (* 프레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단위)
 - 물리 주소로 네트워크 내의 대상 호스트에 프레임을 전달함
 - 장비: Switch, Bridge, NIC(네트워크 카드)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명세를 정의하는 계층
 - 신호를 물리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매체, 절차 등을 정의함
 - 장비: Hub, 케이블

 

 

 -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각각의 층에서 인식할 수 있는 헤더를 붙이게 되는데 이를 캡슐화라고 함

 

캡슐화 과정

 

인캡슐레이션(Pack): 상위 레이어 > 하위 레이어, 디캡슐레이션(Unpack): 하위 레이어 > 상위 레이어

 

2) TCP/IP Protocol Suite

 

 Application Layer  Session, Presentation, Application Layer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Transport Layer  Transport Layer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Internet Layer  Network Layer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Network Interface Layer(=Network Access Layer)  Physical Layer, Data-Link Layer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TCP/IP Protocol Suite

 

네트워크 장비

 

[L1] Hub(Dummy Hub)  - 여러 호스트들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
 - 입력 신호를 받아 다른 포트에 복제하여 출력하는 장비
 - 허브에 연결되는 호스트를 구분할 수 없음
 - 허브의 Collision Dmain은 허브 전체 영역에 걸침
 - 다수의 호스트가 연결되면 속도 저하가 생김
Repeater  - 접속 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특히 전송 거리를 연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
[L2] Bridge  - 네크워크와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장비
Switch(Swiching Hub)  - 여러 호스트들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로 프레임을 다룰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 각 포트가 Collision Domain을 분할함
 - 여러 호스트가 연결되어도 기본적으로 속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음
  Gateway  -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거치는 관문
 - 서로 다른 프로토콜 망 간에도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
[L3] Router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
 -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경로 계산 및 경로 지정을 수행함
[L4] Firewall  - 비 인가된 외부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네트워크 보안 장비
 -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허용된 서비스 및 네트워크만 사용함

 

728x90
728x90

네트워크란?

 - 2개 이상의 호스트를 서로 연결한 것

 

 

네트워크의 기능

 - 데이터 공유

 - 하드웨어 리소스 공유

 - 데이터 백업 등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PAN (Personal Area Netwok)  - 개인이 가진 스마트폰, 태블릿, 주변기기 등이 연결된 네트워크
 - 보통 무선으로 구성됨(예: 블루투스 등)
 LAN (Local Area Network)  - 한정된 지역 내에서 구성된 네트워크
 - 가정, 사무실 등에 구성된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 광범위한 범위에 구성된 네트워크
 - 수많은 LAN이 연결된 네트워크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에 걸친 큰 규모의 네트워크

 

 

개념적인 네트워크 분류

 

 Internet  전세계에 걸쳐 구성된 네트워크로 누구나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Intranet  - 특정 조직에서 사용되는 내부용 업무 네트워크
 - 적용 예시) 국가 기밀 관련 망
 Extranet  인트라넷이 확장된 네트워크로 조직 내부와 협력사 구성원들이 사용 가능한 업무 네트워크

 

728x90
728x90

4차 산업 혁명

- 제 1차 산업 혁명: 증기기관 기반의 '기계화 혁명'
- 제 2차 산업 혁명: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 생산 혁명'
- 제 3차 산업 혁명: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정보화 혁명'
- 제 4차 산업 혁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반의 '만물 초지능 혁명'

 

4차 산업 혁명의 의미

- 인공지능, 데이터, 네트워크가 결합하여 인간의 지적 능력을 구현하기 시작함

 

ICBM (IoT / Cloud / Big Data / Mobile)

- 4차 산업 혁명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원천이 되는 대표적인 정보통신 기술

 

 1) 사물인터넷 (IoT)

- 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 적용 예시: 에어컨, 밥솥, 공기청정기, 도어락 등

 

 2) 클라우드 (Cloud)

- 정보처리, 저장, 관리, 유통, 분석 등의 작업을 제 3의 공간에서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를 불러와 작업하는 사용자 환경
- 클라우드 서비스 vs 웹 하드 서비스 개념 차이

 

클라우드 웹 하드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 수정 가능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백업하는 용도,
- 데이터 수정 시 데이터 업로드 및 다운로드 작업 필요


-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물리적인 하드웨어 인프라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 (Platform as a Service)  미들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 미들웨어: 웹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등
 SaaS (Software as a Service)  End User가 바로 사용 가능한 완성형 소프트웨어를 별도의 설치 없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 적용 서비스 예시: MS Office 365, Google docs 등

 

3) 빅데이터(Big data)

-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빠르게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발견하는 기술
- 초기에는 데이터의 규모를 의미했음
- 빅데이터 기술은 사람들이 평상 시에 쓰는 말이나 글을 컴퓨터가 이해, 정보화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됨
- 데이터의 규모, 속도, 다양성이라는 세 가지 속성을 가짐 -> 3Vs
- 빅데이터 분석 기술

  •  텍스트 마이닝: 최근 소셜 미디어 등 비정형 데이터의 증가,
  • 비정형 또는 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 언어 처리 기술에 기반
  • 오피니언 마이닝(또는 평판 분석)
  • 군집 분석
  • 하둡
  • NoSQL

 

4) 모바일(Mobile)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 중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 환경

 

5) 인공지능

- 머신 러닝

  •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지의 데이터에 대한 예측을 하는 기술
  • 기존의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을 학습하여 아직 접하지 않은 미지의 데이터에도 적합한 일반적인 구조를 발견하기 위한 기술

- 머신 러닝의 학습 방법

  • 지도 학습
  • 비지도 학습
  • 강화 학습

- 딥러닝

  • 심층 신경망을 사용하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
  • 특정 영역에서 높은 예측 성능을 발휘하는 머신러닝 방법 중 하나

- 인공지능

  •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에서 재연하거나 논리적인 추론 처리를 컴퓨터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어떠한 지성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제품이나 서비스
  • (큰 범위) 인공지능 >> 머신러닝 >> 딥러닝 (작은 범위)

- 인공지능 활용 분야: OCR, 번역, 음성 인식, 음원 검색, 챗봇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