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Routing

 

Router

 -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L3 장비
 -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경로를 지정함.

 

Routing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Best Route)를 결정하는 과정

 

Routing 결정 요소

 

 - 홉수(Hop Count)
 - 대역폭(Bandwidth)
 - 부하(Load)
 - 지연(Delay)
 - 신뢰도(Reliability)

 

Routing 방식

 

Static Routing Dynamic Routing
네트워크 관리자가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관리하는 라우팅 방식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라우팅 정보를 관리하는 라우팅 방식

 

Routing Protocol


 - 라우팅 경로를 동적으로 구성하여 라우팅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RIP, IGRP, EIGRP, OSPF, IS-IS, BGP 등

 

Routed Protocol


 - Routing Protocol에 의해 Routing이 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IP, Novell IPX, Appletalk 등

 

Router의 구조

 

 

728x90
728x90

토폴로지

 

IP 설정 (Desktop > IP Configuration)

PC 아이콘 클릭 > Desktop 탭 > IP Configuration 클릭

 

IP 입력

 

PC0 Laptop0 Laptop1
192.168.10.11 192.168.10.12 192.168.10.13
255.255.255.0 255.255.255.0 255.255.255.0

 

폰트 설정 (Options > Preferences > Font)

 

 IP 정보 확인 (ipconfig)

 

C:\>ipconfig

FastEthernet0 Connection:(default port)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Link-local IPv6 Address.........: FE80::2E0:A3FF:FEA0:56D7
   IPv6 Address....................: ::
   IPv4 Address....................: 192.168.10.11
   Subnet Mask.....................: 255.255.255.0
   Default Gateway.................: ::
                                     0.0.0.0

 

 

통신 테스트 (ping [통신 대상의 ip 주소])

PC0 > Laptop0

C:\>ping 192.168.10.12

Pinging 192.168.10.12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92.168.10.1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192.168.10.12: bytes=32 time=1ms TTL=128
Reply from 192.168.10.12: bytes=32 time<1ms TTL=128

 

 

728x90

'쿠버네티스 교육 > 강의 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9_5_Packet Tracer 명령어 정리  (0) 2022.04.29
220429_4_Routing  (0) 2022.04.29
220429_2_Cable 종류  (0) 2022.04.29
220429_1_실습_Packet Tracer 설치  (0) 2022.04.29
220428_4_실습_TCP_3-way Handshake  (0) 2022.04.28
728x90

Cable

 

1. TP(Twisted Pair) Cable

   

- UTP(Unshielded Twisted Pair): 차폐가 되지 않은 꼬임선으로 주로 실내에서 사용됨.

- STP(Shielded Twisted Pair): 차폐 기능을 포함한 꼬임선으로 옥외에서 사용됨.

RJ-45

UTP 케이블 구성 방식

 

Straight-Through Crossover
호스트와 스위치, 호스트와 허브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장비끼리 서로 연결될 때 사용되는 UTP 케이블 방식 허브와 허브, 스위치와 스위치, 호스트와 호스트 등 같은 종류의 장비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UTP 케이블 구성 방식

 

2. Serial Cable

 - WAN 구간에서 Router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

 

 

 

 

3. Rollover Cable

 

- 네트워크 장비에 직접 접근하여 설정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

 

 

 

 

728x90
728x90

PacketTracer(패킷 트레이서)란?

- Cisco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Packet Tracer 회원가입

 

 

Courses > Packet Tracer

 

View course 클릭

 

Get Started 클릭

 

Google 계정으로 연동하여 로그인

 

회원 가입 진행

 

약관 동의 후 진행

 

Packet Tracer 파일 다운로드

 

Packet Tracer 파일 다운로드

1) Packet Tracer 7.3.1

   => 패킷 트레이서 실행 후 별도의 계정 생성 필요(사이트 개편으로 인함)

2) Packet Tracer 8.1.1

   => 패킷 트레이서 실행 후 별도의 계정 생성 필요 없음

 

https://skillsforall.com/resources/lab-downloads

 

Skills for All Resource Hub

Your one-stop for learning resources used within our courses such as hands-on practice activities and our network simulation tool, Cisco Packet Tracer.

skillsforall.com:443

OS 환경에 맞는 파일 선택하여 다운로드

 

Packet Tracer 설치(ver 7.3.1 64bit)

기본 옵션으로 설치

 

Packet Tracer 실행(ver 7.3.1 64bit)

패킷 트레이서 프로그램 실행 후 계정 생성 필요

계정 등록 후 확인 이메일 발송
가입한 이메일 주소에서 수신함 확인
로그인 진행
로그인 성공

Packet Tracer 실행 (ver 8.1.1 64bit)

패킷 트레이서 프로그램 실행 후 별도의 계정 생성 필요 없음

 

728x90
728x90

3-way Handshake

Wireshark에서 Start 버튼 클릭 후 곧 바로 Firefox 브라우저로 이동하여 http://www.example.com 으로 접속

 => 불필요한 패킷을 보지 않기 위함

 

1) Wireshark

 

 

2) Firefox > Private Window

Firefox 브라우저를 열고 메뉴에서 New Private Window 클릭

http://www.example.com 주소로 접속

정상적으로 접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3) 3-way Handshake 확인

 

 

 

 

 

 

 

728x90

'쿠버네티스 교육 > 강의 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9_2_Cable 종류  (0) 2022.04.29
220429_1_실습_Packet Tracer 설치  (0) 2022.04.29
220428_3_Transport Layer  (0) 2022.04.28
220428_2_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2022.04.28
220428_1_Subnetting  (0) 2022.04.28
728x90

Port란?

-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호스트 내에서의 논리 주소

- 포트 범위: 0 ~ 65535

 

 Well-known Port (0 ~ 1023)  잘 알려진 포트로 주요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포트 범위
 Registered Port (1024 ~ 4915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포트 범위(ex. DBMS 등)
 Dynamic Port (49152 ~ 65525)  운영체제가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하는 포트 범위

 

TCP란?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 있는 전송 프로토콜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 연결을 수립함

- 연결 지향형(Connection Oriented) 프로토콜

- 흐름 제어(Flow Control),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등의 기능을 제공함

 

3-way Handshake : TCP 연결 수립

 

 

4-way Handshake : TCP 연결 종료

 

 

 

TCP Header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번호
 - 필드 길이: 16bit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 필드 길이: 16bit
 Sequence Number  - TCP 세션을 동기화 하기 위한 순서 번호
 - 필드 길이: 32bit
 Acknowledgement Number  - 요청을 잘 받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번호
 - 필드 길이: 32bit
 Offset  - TCP 헤더의 길이
 - 필드 길이: 4bit
 Reserved  - 예약된 필드(사용되지 않음)
 - 필드 길이: 4bit
 TCP Control Flags  URG  긴급 데이터의 유무를 나타내는 플래그
 ACK  요청에 대한 응답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PSH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사용하는 플래그
 RST  TCP 연결을 강제로 초기화할 때 사용하는 플래그
 SYN  TCP 연결을 수립할 때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래그
 FIN  TCP 연결을 정상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플래그
 Window  - 수신 버퍼의 크기를 나타내는 필드
 - 필드 길이: 16bit
 Checksum  - TCP Header + Data에 대한 오류 검증을 위한 필드
 - 필드 길이: 16bit
 Urgent Pointer  - Urgent Flag가 SET 되었을 때 긴급 데이터의 마지막 위치를 가리키는 필드
 - 필드 길이: 16bit
 Options  - TCP에서 추가적으로 정의할 필드가 있는 경우
 - 가변 길이
 Padding  - Options 부분이 4Bytes로 끊어지지 않는 경우 나머지 부분을 채움
 - 가변 길이

 

UDP란?

- User Datagram Protocol

- 전송 프로토콜 중 하나로 비 신뢰적, 비 연결지향적 프로토콜

- TCP에 비해 가벼운 프로토콜로 빠른 데이터 전송을 요구할 때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

 

 

UDP Header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 번호
 - 필드 길이: 16bit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 번호
 - 필드 길이: 16bit
 Length  - UDP 패킷의 길이(UDP Header + UDP Data)
 - 필드 길이: 16bit
 Checksum  - UDP 헤더와 데이터의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필드
 - 필드 길이: 16bit

 

728x90
728x90

ICMP란?

- 인터넷 프로토콜을 보조하는 프로토콜로 에러 보고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Type  - ICMP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
 - 필드 길이: 8bit
 Code  - ICMP 메시지의 종류의 세부 분류를 나타내는 필드
 - 필드 길이: 8bit
 Checksum  ICMP 메시지의 에러 검증을 위한 필드
 Other message specific information  ICMP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가 위치하는 필드

 

728x90

'쿠버네티스 교육 > 강의 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8_4_실습_TCP_3-way Handshake  (0) 2022.04.28
220428_3_Transport Layer  (0) 2022.04.28
220428_1_Subnetting  (0) 2022.04.28
220427_3_IP(Internet Protocol)  (0) 2022.04.27
220427_2_실습_ARP Protocol  (0) 2022.04.27
728x90

CIDR 표기법

210.110.70.15/24 <- 서브넷마스크의 bit 수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IP 주소

 

0.0.0.0/8 모든 네트워크
127.0.0.0/8 Loopback 용도 (네트워크 점검용)
각 네트워크의 첫 번째 주소(Host ID bit가 모두 0인 주소) 네트워크 주소
각 네트워크의 마지막 주소(Host ID bit가 모두 1인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169.254.0.0/16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정상적으로 할당받지 못한 경우 운영체제가 임의로 지정하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255.255.255.255 브로드캐스트 주소

 

서브네팅(Subnetting)

-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작게 분할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

 

서브네팅 방식

- 네트워크 갯수에 따른 서브네팅

- 호스트 갯수(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른 서브네팅

 

1. 네트워크 갯수에 따른 서브네팅

문제1) 195.210.32.0/24 네트워크를 2개의 네트워크로 서브네팅 하시오.

 

이진수로 변환하여 계산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

--------------------------------------- . ------------

   195       .     210      .      32           0         

1100 0011 . 1101 0010 . 0010 0000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0000 0000

    255      .     255      .    255      .       0      

===============================

네트워크 1

   195       .     210      .      32            0      

1100 0011 . 1101 0010 . 0010 0000 . 0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1000 0000

    255      .     255      .    255      .     128     

네트워크 2

   195       .     210      .      32           128    

1100 0011 . 1101 0010 . 0010 0000 . 1000 0000

1111 1111 . 1111 1111 . 1111 1111 . 1000 0000

    255      .     255      .    255      .     128     

 

네트워크1 195.210.32.0/25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28
브로드캐스트 195.210.32.127
IP 주소 범위 195.210.32.0 ~ 195.210.32.127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195.210.32.1 ~ 195.210.32.126
네트워크2 195.210.32.128/25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28
브로드캐스트 195.210.32.255
IP 주소 범위 195.210.32.128 ~ 195.210.32.255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195.210.32.129 ~ 195.210.32.254

 

 

문제2) 211.61.62.0/24 네트워크를 4개의 네트워크로 서브네팅 하시오.

 

네트워크1 211.61.62.0/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11.61.62.63
IP 주소 범위 211.61.62.0 ~ 211.61.62.63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11.61.62.1 ~ 211.61.62.62
네트워크2 211.61.62.64/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11.61.62.127
IP 주소 범위 211.61.62.64 ~ 211.61.62.127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11.61.62.65 ~ 211.61.62.126
네트워크3 211.61.62.128/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11.61.62.191
IP 주소 범위 211.61.62.128 ~ 211.61.62.191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11.61.62.129 ~ 211.61.62.190
네트워크4 211.61.62.192/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11.61.62.255
IP 주소 범위 211.61.62.192 ~ 211.61.62.255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11.61.62.193 ~ 211.61.62.254

 

2. 호스트 갯수(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른 서브네팅

 

문제 1) 203.220.48.0/24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당 100 Hosts가 수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서브네팅 하시오.

네트워크1 203.220.48.0/25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28
브로드캐스트 203.220.48.127
IP 주소 범위 203.220.48.0 ~ 203.220.48.127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1 ~ 203.220.48.126
네트워크2 203.220.48.128/25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28
브로드캐스트 203.220.48.255
IP 주소 범위 203.220.48.128 ~ 203.220.48.255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129 ~ 203.220.48.254

 

문제 2) 203.220.48.0/24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당 60 Hosts가 수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서브네팅 하시오.

 

네트워크1 203.220.48.0/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03.220.48.63
IP 주소 범위 203.220.48.0 ~ 203.220.48.63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1 ~ 203.220.48.62
네트워크2 203.220.48.64/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03.220.48.127
IP 주소 범위 203.220.48.64 ~ 203.220.48.127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65 ~ 203.220.48.126
네트워크3 203.220.48.128/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03.220.48.191
IP 주소 범위 203.220.48.128 ~ 203.220.48.191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129 ~ 203.220.48.190
네트워크4 203.220.48.192/26
서브넷마스크 255.255.255.192
브로드캐스트 203.220.48.255
IP 주소 범위 203.220.48.192 ~ 203.220.48.255
호스트에 할당 가능한 IP 주소 범위 203.220.48.193 ~ 203.220.48.254

 

문제 3) 160.250.128.0/24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당 20 Hosts가 수용 가능한 네트워크로 서브네팅 하시오.

 

네트워크1 160.250.128.0/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2 160.250.128.32/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3 160.250.128.64/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4 160.250.128.96/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5 160.250.128.128/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6 160.250.128.160/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7 160.250.128.192/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네트워크8 160.250.128.224/27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24
728x90

+ Recent posts